단원별
예습 평가가 학업 성적에 미치는 영향 [硏究年報 창간호,
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여자중학교, 1970.]
국어 조동사 연구 [석사학위논문, 한국국어교육연구회 논문집11, 1976.]
인문계
고등학교 교과서에 쓰인 외래어와 외국어 조사 연구
(Ⅰ) [硏究年報 19,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고등학교,
1977.]
인문계
고등학교 교과서에 쓰인 외래어와 외국어 조사 연구
(Ⅱ) [硏究年報 20,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고등학교,
1978.]
인문계
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문제점에 관한 고찰 — 국어교과
교육 내용 선정 및 조직을 중심으로 —[硏究年報
20,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고등학교, 1978.]
국어교과의
효율적인 지도 방안에 관한 고찰 [硏究年報 20, 서울대학교
사범대학 부설 고등학교, 1978.]
국어
교과의 수업 모형 연구 [국어교육 37호, 국어교육연구회,
1980.]
국어의 복합어에 대한 고찰 [국어국문학 86호, 국어국문학회,
1981.]
외래어의 형태에 관한 고찰 [어문연구 10-2, 한국어문교육연구회,
1982.]
신경준(申景濬)의
'운해(韻解)'와 유희(柳僖)의 '언문지(諺文誌)' 대비
고찰 [외대학보, 중앙대학교 외국어대학, 1982.]
불완전명사에 대한 연구
— '수'와 '줄'을 중심으로 — [국어교육 44ㆍ45호, 한국국어교육연구회,
1983.]
욕설에 관한 연구(Ⅰ)[중앙대학교 논문집 제 27집, 중앙대학교
중앙문화연구원, 1983.]
욕설에 관한 연구
(Ⅱ) [중앙대학교 논문집 제 28집, 중앙대학교
중앙문화연구원, 1984.]
중세어의 불완전명사에 대한 小考 [국어교육 51ㆍ52호, 한국국어교육연구회, 1985.]
불완전명사에 대한 연구 [중앙대 논문집 29집, 중앙대학교
중앙문화연구원, 1985.]
국어의 대등법과 종속법의 식별 준거에 대한 小考 [중앙대학교 문리대학보, 1986.]
의존명사의 의미 분석 [임동권 박사 송수 기념 논문집, 1986.]
근대국어의
의존명사에 대한 小考 [국어교육 59ㆍ60, 한국국어교육연구회,
1986.]
불완전명사에 대한 연구—
構文上에서 他形態와의 共起關係를 중심으로
— [국어학신연구, 탑출판사, 1986.]
방송화법의
문제점과 개선 방안[한국어 연구 논문집 11, KBS 한국어연구회,
1986.]
국어과의
교육 이념과 그 구현 방안 [정신문화연구 31, 한국정신문화연구원,
1986]
방송국에서의
효율적인 화법 교육 [방송 언어 변천사, KBS 한국어연구회,
1987]
한국어 의존명사의 통시적 연구 [박사학위논문, 1987.]
보통
사람을 외면한 한국의 국어 교과서 [광장 2월호, 1987.]
방송
스포츠 보도문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관한 고찰 [KBS
한국어 연구 논문집 19, 한국어연구회, 1988.]
국어
교과서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[이응백 박사 정년퇴임
기념 논문집, 1988.]
주어의 인칭을 제약하는
어미에 대한 고찰 [유목상 박사 회갑기념논총, 1988.]
국어 어미의 의미 [이용주 박사 회갑기념논문집, 한샘출판사, 1989.]
국어
사랑에 대한 小考 [국어교육 65ㆍ66호, 한국국어교육연구회,
1989.]
후기중세국어 시간부사의 통사ㆍ 의미론적 연구 —
時制副詞를 중심으로 —[말 제14집, 연세대 언어교육연구원, 1989.]
후기중세국어 시간부사의 통사ㆍ의미론적 고찰—
相副詞를 중심으로— [강신항
교수 회갑기념논문집, 태학사, 1990.]
충청북도 방언의 상대경어법 연구 [민제 선생 화갑기념 논문집, 1990.]
전라북도 방언의 상대경어법 연구 [김상선 교수 화갑기념 논문집, 1990.]
기사문의
문제점과 개선 방안, 신문 기사의 문체 [한국언론연구원,
1990.]
광고
방송언어에 관한 조사 연구 [한국어 연구 논문집 27,
KBS 한국어연구회, 1990]
남북한 신문 문체 비교 연구 [한국언론연구원, 1991]
이른바 특수조사 '은/는'에 대한 고찰 [김종훈 교수 화갑 기념논문집, 1991.]
신문ㆍ잡지 광고에 나타난 언어 문제 [새국어생활 2-2,
국립국어연구원, 1992.]
광고
언어의 문제 [중앙어문논집 22, 중아어문학회, 1992.]
신문
기사의 문장 [새국어생활 5-4, 국립국어연구원, 1992]
말하기ㆍ듣기
지도, 광복 후의 국어 교육 [한샘출판사, 1992]
남한과
북한의 어휘 비교 연구 [한국어 연구 논문집 34, KBS
한국어연구회, 1992]
후기중세국어의 사동법에 대한 연구 [국어학 23집, 국어학회, 1993.]
근대국어의 표기법에 대한 형태론적
해석 [정신문화연구 16-1, 한국정신문화연구원, 1993.]
남북한
전문 서적의 문체에 관한 비교 연구 [국어교육
83ㆍ84호,
한국국어교육연구회, 1994.]
남북한 규범 문법의 비교 연구 [박갑수 선생 화갑기념논문집, 태학사, 1994.]
현대국어 청자대우법의 화계 구분 [이용주 교수 정년퇴임기념논문집, 1994.]
남북의
화법과 국어 교육 [교육월보 10월호, 교육부, 1994.]
박경리의
'토지'에 쓰인 어휘 연구 [牛山 이인섭 교수 화갑 기념
논문집, 1995.]
남북한
언어 비교 [신문과 방송 298호, 한국언론연구원, 1995.]
신문
기사의 문장 [새국어생활 5-4, 국립국어연구원, 1995]
방송 출연자의 언어 사용 양상 [국어교육 89호, 한국국어교육연구회, 1995.]
텔레비전
연예 오락 프로그램 출연자의 언어 문제 [방송언어자료집,
방송위원회, 1995]
텔레비전
토론 프로그램 출연자의 언어 문제 [방송언어자료집,
방송위원회, 1995]
전국
중학교 1ㆍ2학년 학업 성취도 평가 연구 [국립교육평가원,
1995.]
국어과
교수-학습 목표 상세화 [국립교육평가원, 1995]
국어
평가 문항 개발의 실제 [국립교육평가원, 1995]
한국어의
국제화[한국어 국제화 추진 협의회 학술대회 논문집,
1995.]
대학
'교양 국어'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
[국어 교육 91, 한국국어교육연구회, 1996.]
문법에 어긋나는 우리말의 용례들 [한글 사랑 창간호, 한글사, 1996.]
기사
문장의 구성과 표현 [신문 방송 기사 문장, 한국언론연구원,
1996]
A
Comparative Study of the Prescriptive Grammar in
North and South Korea, 호주 Griffith 대학과
국제한국어학회 공동 주최 제10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,
1996. 7. 11]
남북한
언어 동질성 회복 방안 [한국어 연구 논문집 44, KBS
한국어연구회, 1996.]
중등
교원 양성 교육과정 연구 [교육부 연구보고서, 1997]
운동
경기 용어의 순화 연구 [문화체육부 연구보고서, 1997.]
방송 광고 언어에 관한 연구 [국어교육 94호, 한국국어교육연구회, 1997.]
낭독
평가에 관한 연구 [논문집 64, 한국국어교육연구회,
1997.]
국어
순화 방안 — 운동 경기 용어를 중심으로 — [한국국어교육연구회
제244차 월례연구 발표회 논문집, 1997.]
광고
언어를 통해 본 우리말 [한글 사랑 가을호ㆍ겨울호,
1997.]
방송
보도 [한국어 연구 논문집 47, KBS 한국어연구회, 1997.]
제7차
국어과 교육 과정 개발 연구, [교육부 연구보고서,
한국교육개발원, 1997.]
근대국어 사동법에 대한 연구 [국어교육 97호, 한국국어교육연구회, 1998.]
통일
대비 국어 교육 [한국국어교육연구회 전국학술대회
논문집, 1998.]
남북한의
중ㆍ고등학교 국어교과서에 쓰인 언어 비교 분석 연구
[국어 교육 98, 한국국어교육연구회, 1998.]
방송
언어 문제 [한국화법학회 전국학술대회 논문집, 1998.]
방송
언어 사용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[문화 방송 1998년
5월호, 1998.]
한국 사회
계층별 언어 특성에 관한 연구 [사회언어학 7-1, 한국 사회언어학회, 1999.]
텔레비전 자막에 쓰인 언어에 관한 연구 [화법연구1, 한국화법학회, 1999.]
A
Study on the Curriculum and Textbook of Korean as
a Foregn Language in Secondary Schools, 체코 프라하
국제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, 2000. 7.]
옥외
광고물에 쓰인 언어에 대한 연구 [사회언어학 8-2, 한국
사회언어학회, 2000.]
대중
문화 속의 외래어 실태 [한국국어교육연구회 전국학술대회
논문집, 2000.10. 13.]
韓國語の發音敎育,
2000年度 韓國語敎育 ツソポヅワム [日本韓國語敎育硏究會,
2000. 10. 28.]
일본인
학습자에 대한 발음 교육 [이중언어학회와 한국어 세계화
추진위원회 공동 주최 국제학술대회 발표 논문집, 2000.
11. 18.]
텔레비전
방송 프로그램 제목에 관한 연구 [국어 교육 103호,
한국국어교육연구회, 2000.]
신문
문장의 변화와 문체 [신문과 방송 385호, 한국언론연구원,
2000.10.]
축제와
언어 [김선풍 교수 화갑 기념 논문집, 2000.10. 21.]
A Plan of Unification on theStandard Pronunciation Norm in North and South Korea,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말라야대학과 이중언어학회 공동 개최 국제학술대회 논문집, 2001. 6]
김유정의
'동백꽃'과 이상의 '날개'의 문체 비교 연구 [(중국
북경 소재) 중앙민족대학 국제학술대회 발표 논문집,
2001. 8. 2.]
중국인을
대상으로 한 한국어 발음 교육 방법에 대한 고찰 [중국
연변과학기술대학
제5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, 2001. 11. 30.]
서울 방언에 대한 연구
[국어교육 107호,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, 2002.]
한국어와 만주-퉁구스 제어의 격표지어 비교 연구[국어교육 109호,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, 2002.]
김유정의
'동백꽃'과 이상의 '날개'의 문체 비교 연구, 세계속의
한국(조선) 문학 비교 연구 [북경 : 민족출판사, 2002.]
한국어의 발음 교육 방법[이중언어학 20호, 이중언어학회, 2002.]
한국어
화법 문화와 화법 교육 [중국 연변과학기술대학 제6회 국제학술대회
논문집, 2002. 7.9.]
서울
방언의 문법에 대한 연구[조선학, (중국 북경
소재) 중앙민족대학 조선학연구소, 북경 : 민족출판사,
2002.7.]
공자와 그의 제자들의 화법관에 대한 연구[화법연구 4호, 한국화법학회, 2002.]
서울
방언의 음운에 대한 연구, 21세기 국어 현황과 과제
[한국문화사, 2002.]
광고
텍스트의 언어 사용 양상, 텍스트 분석의 실제 [역락
출판사, 2003.]
한국어 문법 교수-학습 방법에 대한 고찰[어문연구
118호, 한국어문교육연구회, 2003.]
신문의 언어 사용 실태와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[국어교육학연구
16집, 국어교육학회, 2003.]
남한과 중국 조선족 사회의 언어 비교 연구[언어과학연구
26, 언어과학회, 2003.]
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문제[국어교육
112,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, 2003.]
남한과
북한의 '표준 발음법'의 통일 방안에 대한 고찰[ 언어와
진실 , 국학자료원, 2003.]
교사의 질문과 응답 화법[화법연구
5, 한국화법학회, 2003.]
전통
화법과 7차 국어 교과 교육과정의 듣기ㆍ말하기 교육
내용의 대비 고찰[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Ⅳ [태학사,
2003. 6.]
텔레비전
방송 언어의 문제와 개선 방안[ 서울 교육 2003 가을호,
서울시교육고학연구원, 2003. 9.]
갈등
해소 전략에 대한 고찰 [한국회법학회 전국학술대회
논문집, 2003. 9. 27.]
언어
순화를 위한 문법 파괴, 외래어, 비표준어 문제, 방송ㆍ통신
언어를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[한국스피치커뮤니케이션학회와
KBS 공동 세미나 논문집, 2003. 9. 27.]
외국어로서의
한국어 교재의 개선 방안에 대한 고찰 [이중언어학회ㆍ북경외국어대학
공동 개최 제11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, 2003. 10.
17.]
한국어
대우법 교육 [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,
2003. 12. 20.]
남한과 북한의 규범문법 비교 연구[국어교육 113호, 한국어교육학회, 2004.]
방송
언어에 나타난 언어 문화 [국제한국어문화학회 제1차
국제학술대회 논문집, 2004. 5. 22.]
유아
언어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[한국유아교육협회 전국학술대회
논문집, 2004. 7. 3.]
The
Ploblems of the Korean Text book for Foreigners[국제한국어학회 터키 앙카라대학 국제학술대회 발표
논문집, 2004. 7. 14.]
토론 교육의 내용과 방법 [화법연구 7, 한국화법학회,
2004.]
학교장의 설득 연설에 관한 고찰 [인문학
연구38, 중앙대 인문과학연구소, 2004.]
남한과 북한의 외국인을 위한 문법 교과서 비교 분석, [국어교육 115호,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,
2004.]
화법
지도의 방법과 평가 [중국 연변과학기술대학 제8회 국제학술대회
논문집, 2004. 9. 17.]
방송언어문화에 대한 고찰
[언어과학연구 31, 언어과학회,
2004.]
중학교와
고등학교 말하기 교육의 문제와 개선 방안[한국화법학회
전국학술대회 논문집, 2005. 3. 26.]
사회언어학적
관점에서 본 한국인과 중국 조선족의 언어 사용 양상
[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제2차 국제학술대회 논문집,
2005. 5.21.]
신문
문장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[말과 글 103, 한국어문교열기자협회,
2005. 6. 25.]
한국어ㆍ조선어ㆍ중국
조선어의 어휘 비교 연구 [中國韓國(朝鮮)語 敎育硏究會와 復旦大學外文中學院 공동 주최 中國韓國(朝鮮) 言語文學敎育硏究學術硏究討論會 論文集 , 2005. 10. 2.]
한국인과 중국 조선족의 음운 실현 양상[이중언어학 제28호, 이중언어학회, 2005.]
한국인과 중국 조선족의 문법 실현 양상 [한국어 교육 16-2, 국제한국어교육학회, 2005.]
방송 언어의 평가지수와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[화법연구 8호, 한국화법학회, 2005. 6.]
한국어
회법 교육에 관한 고찰 [일본 동경대학교ㆍ이중언어학회ㆍ조선어연구회ㆍ한국어문교육연구회
공동 개최 국제학술대회 논문집, 2005. 7. 9.]
한국어
경어법 교육 [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사법대학교와
고려문화협회 공동 개최 국제학술대회 논문집, 2005.
10. 26.]
한국어 청자 경어법의 교육 방안에 관한 고찰[국어교육 119호, 한국어교육학회, 2006. 2.]
텔레비전
방송 프로그램 제목에 대한 고찰 [한국스피치커뮤니케이션학회
전국학술대회 논문집, 2006. 6. 10.]
외국어로서의
한국어 교육자의 자질과 처우에 관한 연구[ 국제한국어교육학회
국제학술대회 논문집, 2006. 8. 5.]
남한과
북한의 언어 문화에 관한 고찰 [국어교육 121호, 한국어교육학회,
2006. 10.]
외래어의
표기와 발음 [한국어문교육연구회 전국학술대회 발표
논문집,
2006. 12.]
부모의 대화법에 관한 고찰 [화법연구 10호, 한국화법학회, 2007. 6.]
국어와 중국 조선어
학교문법 비교 연구 [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 논문집,
2008. 2.]
한국어와 중국 조선어의 규범문법 비교 연구 [국어교육 125, 한국어교육학회,
2008. 2]
한국 화법 교육의 여러 문제 [화법연구 12, 한국화법학회, 2008.]
중병에
걸려 있는 한국 언어 문화 치료 방안 (1) [힐텍힐빙문화연구
창간호, 힐텍힐빙문화연구소, 2008. 6.]
A
Survey of 'ida' in Korean [The 18th International
Congress of Linguists, 한국어발표 논문집, 2008.
7. 7.]
방송직의 화법
[화법연구 13, 한국화법학회, 2008]
다문화
가정의 한국어 교육 방안 [KBS 한국어연구회 세미나
논문집, 2008. 10.]
공영
방송의 방송 언어 : 막말 방송의 대안 모색 [KBS 한국어연구회
세미나 논문집, 2009. 4.]
한국어 문장 구성 양상의 통시적 고찰 [세계 속의 한국(조선)학 연구 국제학술토론회 논문집, 북경
: 민족출판사,
2009.]
대학의
글쓰기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[문예운동 108호,
2010년 겨울호, 문예운동사, 2010.]
토론 교육의 활성화 방안[한국화법학회 제24회 전국학술대회
발표 논문집, 2011년 9월 24일]
청소년의 언어폭력을
예방하기 위한 방안, KBS 한국어연구회 [자문위원회, 발표논문집, 2014.]
한국인의 의사소통의 저해 요인과 갈등 해소 화법, 북경 소재 중앙민족대학 [국제학술대회 논문집, 2014.]
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현대국어의 상대높임법에 관한 연구, [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Language, 2-2, 국제한국어교육문화재단, 2016]
|